[root@localhost ~]# rpm -qa|grep vim
vim-enhanced-7.0.109-3.el5.3
vim-minimal-7.0.109-3.el5.3
vim-common-7.0.109-3.el5.3
[root@localhost ~]#
위의 3가지 rpm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 특히 초기 설치시에는
vim-enhanced-7.0.109-3.el5.3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아서 그런듯 합니다.
[root@localhost ~]# rpm -ql vim-enhanced
/etc/profile.d/vim.csh
/etc/profile.d/vim.sh
/usr/bin/ex
/usr/bin/rvim
/usr/bin/vim
/usr/bin/vimdiff
/usr/bin/vimtutor
/usr/share/man/man1/rvim.1.gz
/usr/share/man/man1/vimdiff.1.gz
/usr/share/man/man1/vimtutor.1.gz
[root@localhost ~]#
설치는 yum install vim-enhanced
2.
vi를 vim으로 alias 걸어주기(<===이 설정 때문에 몇시간을 헤맸음 ㅜ.ㅜ)
alias vi=’vim’
추가해주고 실행(. .bashrc)
3. $HOME에 .vimrc 설정 (혹은 전체 사용자에게 설정되게 하려면 /etc/vimrc
파일에 내용 추가) set term=xterm-color ” color 설정에 필요함
syntax on ” color 설정에 필요함
“이후 나머지 부분은 알아서 설정
“set nu ” 라인 번호
set ai ” 자동으로 들여쓰기를 한다.
set bs=2 ” allow backspacing over everything in insert
mode
set cindent ” C 프로그래밍을 할 때 자동으로 들여쓰기를 한다.
set smartindent ” 좀 더 똑똑한 들여쓰기를 위한 옵션
set ruler ” 화면 우측 하단에 현재 커서의 위치 표시
set tabstop=4 ” Tab 크기를 4로 설정
set shiftwidth=4 ” 자동들여쓰기 크기를 4로 설정
set history=999 ” 이전 작업하던 라인을 기억한다.
set pastetoggle= ” 자동들여쓰기 기능 (Paste 시에는 Off 하는게 좋다)
set fileencoding=euc-kr ” UTF-8을 기본 저장포맷으로
set encoding=euc-kr ” UTF-8을 기본 읽기포맷으로
set termencoding=euc-kr ” 단 터미널은 euc-kr로
set showmatch ” 입력시 괄호를 닫을때 그와 쌍이 되는 괄호를 깜빡
set paste
hi Statement ctermfg=Yellow
hi Comment ctermfg=Gray
hi Type ctermfg=LightGreen
colorscheme seoul
4. 추가 color 설정
.vimrc 파일에
colorscheme [scheme파일명]
scheme파일은 /usr/share/vim/vim70/colors 에 확장자 vim으로 위치시킴
(파일 다운 http://www.cs.cmu.edu/~maverick/VimColorSchemeTest/index-c.html )
즉 colors 폴더에 있는 desert.vim을 적용시키고자 한다면 .vimrc
파일에
colorscheme desert
추가하면 됨.
기본적으로 2번과정까지만 처리해도 어느정도 컬러표시 되므로 사용하는데 지장 없음